저는 차트충이에요.
차트만 보면서 단타 매매를 해요.
차트 매매를 부정적으로 보는 분들이 계신데요.
저는 차트 매매를 부정적으로
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요.
차트 매매로도 돈을 벌면
차트 매매를 하면 되는 것이고,
기본적 분석으로 매매를 해서 돈을 벌면
기본적 분석으로 매매를 하면 되는 거니까요.
이번 글을 시작으로
주식 차트 보는 법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주식 차트를 보려면
추세선, 지지선, 저항선,
이동평균선 등을
기본적으로 볼 줄 알아야 돼요.
무조건 볼 줄 알아야 하는 건 아니지만,
볼 줄 알면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어요.
자, 그럼 추세선 그리는 법과
추세선으로 매매하는 법을 시작으로
주식 차트 보는 법을
하나씩 알려드릴게요.
< 아래 글 순서 >
1. 추세선이란
2. 추세선 그리는 법
3. 추세선으로 매매하는 법
*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글은 참고용으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1. 추세선이란? - 코인 차트 보는 법
추세선 그리는 법을 알려드리기에 앞서
추세선이 뭔지 먼저 알아볼게요.
주가가 어느 기간 동안에
움직이는 방향을 알기 쉽게 표시하려고,
일정한 범위에서 정점과 바닥을 이루는
두 점을 이은 선.
- 국어사전 -
추세선은 주가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그린 선이에요.
일정 기간 동안 움직인 주가의
하단점은 하단점끼리
상단점은 상단점끼리
두 개 이상점을 이은 선이에요.
추세선은 이렇게 생겼어요.
사람마다 추세선을 그리는 방법이
조금 달라요.
어떻게 그리든 추세를
파악할 수 있게만 그리면 돼요.
2. 추세선 그리는 법 - 주식 차트 보는 법
추세선 그리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추세선은 차트의 추세를 보기 위해
그리는 것이기 때문에
보시는 것처럼 위에 그리든 아래든 그리든
상관없어요.
위에서 언급한 대로
보기 편하게만 그리면 돼요.
대신 이것 하나만 지키시면 돼요.
최소한 두 개의 점을 연결시켜야 돼요.
당연하죠.
선 한 개로는 추세를 파악할 수 없으니까요.
두 개 이상만 되면 세 개를 연결하든
네 개를 연결하든 상관없어요.
연결하는 점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아요.
많은 점을 연결하면 추세가
그만큼 더 정확해지거든요.
위에서 이미지에서 상단 추세선은
세 개의 점을 이었고요.
하단 추세선은 네 개의 점을 이었어요.
위에 추세선을 보면서
몇 가지 의문이 떠오르실 거예요.
(1) 몸통끼리 이어야 할까?
몸통끼리 이어야 할지,
꼬리끼리 이어야 할지
헷갈리실 거예요.
위에 예시에서는 몸통끼리 이었는데요.
이번에는 꼬리끼리 이어볼게요.
보시는 것처럼 몸통끼리 잇든,
꼬리끼리 잇든 상관없어요.
대신 한 가지만 확실하게 하면 돼요.
꼬리끼리 잇든지,
몸통끼리 있든지만 지키면 돼요.
그래야 추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거든요.
(2) 몇 분봉에서 이어야 할까?
몇 분봉 차트에서 이어야 할지도
궁금하실 거예요.
주 매매 차트에서 이으시면 돼요.
주력 차트가 15분봉이면 15분봉에서,
1시간봉이면 1시간봉에서
이으시면 돼요.
다만 주 매매 차트에서
추세 파악이 어려우면
다른 차트에서 추세선을 그리시면 돼요.
큰 흐름을 파악하시려면
시간이 더 큰 차트에서,
디테일한 흐름을 보고 싶으시면
시간이 더 작은 차트에서
추세선을 그리시면 돼요.
(3) 추세선을 이탈한 캔들이 있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추세선을 그릴 때 중간에
추세선을 심하게 뚫고 나온 캔들이
있을 때가 있어요.
추세선이 그려지기만 하면
중간에 비정상적으로
뚫고 나오면 캔들이나 꼬리는
신경 쓰지 않아도 돼요.
3. 추세선으로 매매하는 법 - 주식 차트 보는 법
자, 그럼 이제 가장 중요한,
추세선으로 매매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추세선으로 매매하는 방법은
세 가지 방법이 있어요.
① 상단선 돌파
② 하단선 돌파 후 반등
③ 하단선 터치
① 상단선 돌파
추세가 제대로 이어지고 있다면,
추세선을 뚫는 시기가 올거예요.
보통 하락 차트에서
상승으로 추세 전환할 때 발생해요.
상단선을 뚫을 때 매수를 하면 돼요.
상단설 돌파를 할 때
돌파가 이어져 상승 전환을 할지
예측하는 방법이 있어요.
전고점이나 저항선을 돌파하는지
확인하면 돼요.
그리고 다른 보조 지표를 참고하면 돼요.
전고점과 저항선
그리고 다른 보조 지표 보는 방법은
따로 살펴볼게요.
상단선을 돌파했다고 바로 매수하기보다
추세 전환이 이어지는지,
유지되는지 본 후에
매수를 진행하는 게 좋아요.
그리고 추세 전환 후에
추세가 이어진다면
바로 매매하기보다
매수 포지션을 길게 가져가는 게 좋아요.
상단선을 돌파했는데
다시 내려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럴 경우는 재빨리 매도해야
손실을 막을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추세 전환이 확실해진 다음에
매수를 하는 게 가장 좋아요.
② 하단선 돌파 후 반등
하단선을 돌파한 후에
반등할 때 매수하는 방법도 있어요.
저는 하락 차트를 가져왔는데요.
하락 차트에서 추세를 이탈하여
더 하락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보통 상승 차트에서
하락 추세로 전환할 때
반등을 노리는 게 좀 더 좋아요.
상승 차트에서 하락으로
추세 전환할 때는 전저점과 지지선을 보고
반등 시점을 파악할 수 있는데요.
전저점과 지지선을 보는 법도
따로 알려드릴게요.
이 방법은 별로 추천드리지 않아요.
고수가 아니면 물리기 딱 좋은
방법이라서 말이죠.
③ 하단선 터치
수익을 가장 많이 가져갈 수 있는 방법이에요.
추세가 진행 중이라면
하단선을 터치한 후 상승하고,
상단선을 터치한 후 하락을 해요.
이 과정을 반복할 텐데요.
하락선에 닿을 때 쯤 매수하고,
상단선에 닿을 때쯤 매도하면 돼요.
제대로만 매매하면 꽤 큰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데요.
추세 전환 때 잘못 물리면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돼요.
지금까지 주식 차트 보는 법 중에서
추세선 그리는 방법과
추세선으로 매매하는 방법을 알려드렸어요.
이 포스팅에서 알려드린
추세선으로만 매매하시면 안 돼요.
다른 보조 지표도 참고하시면서 매매해야
물리거나 손실을 볼 확률을 줄일 수 있어요.
'국내 주식 > 국내주식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7월 12일 자 국내주식 뉴스 (0) | 2022.07.13 |
---|---|
22년 7월 11일 자 국내주식 뉴스 (0) | 2022.07.12 |
22년 7월 10일 자 국내주식 뉴스 (0) | 2022.07.11 |
22년 7월 9일 자 국내주식 뉴스 (0) | 2022.07.10 |
22년 7월 8일 자 국내주식 뉴스 (0) | 202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