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7월 19일 자 국내주식 뉴스
7월 19일 자 국내주식 뉴스를 전해드려요.
* 국내주식 소식은
블로거의 견해가 아니라,
해당 매체의 의견임을 밝힙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에 하에
하시길 바랍니다.
[ 기업/종목 ]
1. 국내 배터리 3사, 앞다퉈 IT 인재 영입..'네카라쿠배'와 인력 쟁탈전 치열
https://finance.daum.net/news/20220719230818204
국내 주요 배터리 제조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이 정보기술(IT) 인력 확보 경쟁을 펼치고 있다.
전기차 시대로 전환하면서 배터리 생산량이 확대돼 기존보다 많은 인력이 필요한 데다 배터리 최다 수요처인 전기차업계는 배터리 관련 지식 못지않게 자율주행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IT 분야에 대한 전문가들의 지식과 손길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적극적인 IT 인재 영입에 나서면서 전통의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인 ‘네카라쿠배’(네이버·카카오·라인·쿠팡·배달의민족)와의 인력 쟁탈전도 펼쳐지고 있다.
2. 현대차, 임금협상 61.9% 찬성..4년 연속 무분규 타결
https://finance.daum.net/news/20220719232622408
현대자동차 노사가 올해 임금 협상을 무분규로 마무리했다. 현대차 역사상 처음으로 4년 연속 파업 없이 임금협상을 끝낸 것이다.
현대차 노조는 19일 전체 조합원(4만6413명)을 대상으로 올해 임협 잠정합의안 찬반투표를 실시했다. 개표 결과 투표자 3만9125명(투표율 84.3%) 중 2만4225명(61.9%)이 찬성해 가결됐다.
올해 합의안은 임금 10만8000원(기본급+수당 1만원) 인상, 성과·격려금 300%+550만원, 주식 20주, 재래시장 상품권 25만원 지급 등을 담고 있다.
3. 종근당, '1호 신약' 천연물 치료제로 위염 치료제 시장에 도전장
https://finance.daum.net/news/20220719213023934
종근당이 위염 치료제 시장에 '천연물 신약'으로 도전장을 냈다. 지난해 기준 국내 위염 치료제 시장 규모는 3,500억 원에 달한다. 유파시딘에스, 레바라틴, 파미딘 등 합성의약품 위염 치료제를 보유한 종근당이 '천연물 신약'을 개발한 것은 처음이다.
종근당은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자체개발 '1호 신약'인 급성·만성 위염 치료제 '지텍(성분명: 육계건조엑스)'에 대한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지텍은 녹나무과 육계나무의 줄기 껍질을 말린 약재 '육계'에 종근당이 자체 개발한 신규 추출법을 적용해 위염에 대한 효능을 최초로 입증한 천연물 의약품이다.
종근당 측은 '2013년부터 다양한 생약을 대상으로 기존 약물 대비 차별화 가능성이 있는 소재와 추출법을 탐색하다 육계의 위염 치료 효능을 확인하고 개발에 착수했다'고 설명했다. 종근당은 전(前)임상에서 항염증 효과와 위에서 점액분비를 촉진시키는 방어인자 증강작용 등을 확인하고 본격적으로 임상에 착수했고, 임상 2상에서는 위약 및 기존 합성의약품, 천연물 의약품과 비교해 우수한 위염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4. 삼성전자, 2분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21%..1위 유지
https://finance.daum.net/news/20220719201635326
삼성전자가 지난 1분기에 이어 올해 2분기에도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는 올해 2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9%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출하량 기준으로는 삼성전자가 2분기 작년 같은기간 대비 3%포인트 오른 21%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습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1분기에도 점유율 24%로 1위에 올랐고 중저가형 A시리즈의 호조로 점유율을 높였다는 설명입니다.
5. SK스퀘어, 나노엔텍 지분 전량 매각..580억 자금 확보
https://finance.daum.net/news/20220719201303215
SK스퀘어가 투자 중이던 기업의 지분을 전량 매각해 580억원의 자금을 확보했다.
SK스퀘어는 19일 코스닥 상장 바이오·헬스케어기업인 나노엔텍 지분 28.4%(760만649주)를 모두 국내 사모펀드 J&W파트너스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한 주당 가격은 7631원으로, 처분 예정일자는 오는 9월19일이다.
SK스퀘어는 이번 매각으로 10년여 만에 투자금액의 2배 가까운 250억원가량의 차익을 냈다. SK스퀘어는 SK텔레콤에서 분할되기 전인 지난 2011년 250억원을 투입해 나노엔텍의 지분 인수에 나섰고, 2013년 78억원을 추가 추입하기로 결정했다.
SK스퀘어는 확보된 자금을 신규 투자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반도체나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 투입될 전망이다.
[ 시황/전망 ]
1. 어제는 금융, 오늘은 의류..'두더지 게임'된 증시
https://finance.daum.net/news/20220719173403042
업종별로 주가가 급등하는 순환매 장세가 펼쳐지고 있다. 주식시장에 뚜렷한 호재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저평가 업종에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19일 증시에서 의류주가 일제히 상승했다. 탑텐, 지오지아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신성통상은 7.77% 오른 3120원에 마감했다. 휠라홀딩스(7.41%) LF(7.32%) 형지엘리트(5.41%) 등 다른 의류주도 강세를 보였다.
이날 의류주 급등과 관련해 유통 담당 애널리스트들은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했다. 전날에는 증권과 건설주가 나란히 뛰었다.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한국금융지주 등은 6~7%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건설주도 상승폭이 4~5%에 달했다.
2. 7만 확진에 '상한가' 칠 뻔?.."폭등→폭락 잊지 말아야" 증권가 경고
https://finance.daum.net/news/20220719165039046
19일 코스닥 시장에서 서울제약은 전일 대비 390원(7.26%) 오른 5760원에 거래를 마쳤다. 화이자 관련주로 불리는 서울제약은 장 초반 27.56% 폭등해 상한가에 가까운 6850원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신풍제약은 전일보다 4400원(16.24%) 오른 3만1500원에 마감했다. 신풍제약은 지난 6일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인 '피라맥스'에 대한 임상3상 시험계획을 콜롬비아에서 승인받았다고 공시했다.
코로나19 하루 확진자 수가 약 3개월 만에 7만명을 넘어서면서 '6차 유행'이 현실화되자 관련 종목들이 다시 기대감에 부푼다. KRX헬스케어 지수는 이달 들어 8% 넘게 오르면서 KRX지수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3. 애플 긴축경영 소식에 LG이노텍 '주춤'.."주가 다시 오른다"
https://finance.daum.net/news/20220719164721891
애플발(發) 악재에 LG이노텍 주가가 주춤했다. 투자자들은 애플의 긴축경영이 LG이노텍에도 영향을 주지 않을까 걱정하는데 투자업계에선 향후 업황과 실적에 주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19일 LG이노텍은 전 거래일 보다 1만6500원(-4.78%) 하락한 32만8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LG이노텍은 장중 32만4500원까지 주가가 하락하기도 했다.
LG이노텍의 급락은 주요 고객사인 애플이 '긴축경영'에 나서겠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지난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은 애플이 경기 침체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내년 일부 부문의 고용과 지출을 억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애플의 주가도 전 거래일 보다 2.07% 하락했다.
4. 2022년 상반기 DLS 미상환 발행잔액 29조..9.4%↑
https://finance.daum.net/news/20220719164512801
올해 상반기 파생결합증권(DLS) 상환이 이뤄지지 않은 발행잔액이 30조원 가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가량 증가한 수치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중 DLS 발행 금액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0%가량 감소했다. 올 상반기 이어진 자본시장 침체국면이 DLS 미상환 증액에도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예탁결제원은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올해 6월말 기준 파생결합사채(DLB)를 포함한 DLS 미상환 발행잔액은 29조3016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말(26조7719억원) 대비 9.4% 증가하였으며 지난해말(27조5026억원)에 비해서는 6.5% 증가한 것이다.
5. "전세계 소비자, 공급망 붕괴·인플레이션 영향에 소비패턴 변화"
https://finance.daum.net/news/20220719163051142215
공급망 붕괴와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글로벌 소비자들의 소비 행동 패턴에 변화가 가속화하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팬데믹 영향으로 온라인 쇼핑이 확대되고 오프라인 쇼핑을 줄인 소비 습관이 지속, 강화될 전망이다.
PwC글로벌은 최근 팬데믹 이후 변화를 마주한 글로벌 소비자들의 소비 행동 패턴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5개국 9069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2 글로벌 소비자 인사이트 설문 보고서’를 19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소비자들은 물건을 구매할 때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쇼핑 모두 식료품 가격 상승, 필요한 물건의 품절, 배송 지연이나 긴 대기줄과 같은 공급망 불안정을 가장 높은 요인으로 꼽았다. 조사에 응한 소비자들 대다수가 인플레이션을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