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8월 23일 자 가상화폐 뉴스
8월 23일 자 코인 뉴스를 전해드려요.
* 국내외 매체 소식은
블로거의 견해가 아니라,
해당 매체의 의견임을 밝힙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에 하에
하시길 바랍니다.
1. 잭슨홀 회의 앞두고 나스닥·비트코인 동반 급락...BTC 약세론자 목소리 커져
https://cobak.co.kr/news/9/post/734445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itcoin, BTC)은 간밤 나스닥이 2.55% 급락하자 동반 하락하며 21,000달러를 간신히 유지하고 있다. 한국시간 23일 오전 7시 42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비트코인(BTC, 시총 1위) 시세는 24시간 전 대비 1.70% 하락한 21,218달러를 기록 중이다. 비트코인은 지난 24시간 동안 최저 20,939.18달러, 최고21,639.40달러 사이에서 거래됐다.
이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트레이더이자 분석가 알렉스 크루거(Alex Kruger)는 "지난주 하락장으로 곰(매도 세력)들이 운전석에 앉았다. 시장에 반전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은 이번 주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좋은 말을 해줄 것 같지 않다"고 진단했다.
코인베이스 기관 리서치 책임자 데이비드 듀옹(David Duong) 또한 비트코인이 일봉 기준 기술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고 단기적으로 추가 하락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앞으로 몇 주 동안 20,830~19,230달러 사이에서 지지선을 리테스트할 것이며, 트레이더들은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파월의 발언을 면밀히 주시할 것이다. 파월은 긴축 사이클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2. 비트코인 현물, 또 다시 실현가격 아래로 '뚝'..."신규 자본 유입 부족"
https://cobak.co.kr/news/9/post/734874
비트코인(BTC) 현물 가격이 최근 약세를 나타내며 다시 '실현가격'(realized price, 지갑 평균 온체인 취득 가격) 아래로 떨어졌다는 진단이 나왔다.
23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가 주간 온체인 보고서를 통해 "신규 투자자 유입 저조는 신규 자본 유입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진단했다.
또 보고서는 "본격적인 단기 하락이 발생하기 전 23일 연속 현물가격>실현가격 상태가 유지됐지만, 신규 투자자 유입은 저조해 지속 상승을 위한 모멘텀 확보에 실패했다"고 분석했다.
3. 이더리움 채굴자 주소 보유 ETH, 최근 3년來 가장 많아...0.01 ETH 이상 보유 주소 수는 4개월來 최저
https://cobak.co.kr/news/9/post/734815
시가총액 2위 암호화폐 이더리움(Ethereum, ETH)이 금리인상 공포에 1,500달러선까지 떨어진 후 하락폭을 만회하며 23일(한국시간) 현재 1,600달러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날 오후 6시 56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이더리움은 1,614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24시간 전 대비 3.14% 상승한 가격이다.
이더리움은 지난 24시간 동안 최저 1,553.45달러, 최고 1,632.75달러 사이에서 거래됐다.
4. 비트코인, 美 긴축 우려 속 2,800만원대까지 하락..."위험자산 회피심리 확산"
https://cobak.co.kr/news/9/post/734702
3일 국내 가상자산이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비트코인이 2천800만원대까지 내렸다.
이날 오후 4시 5분 기준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1비트코인 가격은 2천899만2천원으로, 24시간 전보다 1.5% 내렸다.
같은 시간 빗썸에서도 1.6% 내린 2천895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도 24시간 전보다 소폭 내린 217만원대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가상자산은 미국발 긴축 우려에 지난 주말부터 하락세다.
5. 김용범 전 기재차관, 해시드 계열사 대표..가상자산 시장 합류
https://cobak.co.kr/news/9/post/734707
김용범 전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가상자산 업계로 뛰어든다.
23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김 전 차관은 해시드오픈리서치(HOR)의 대표이사로 부임한다.
해시드오픈리서치는 블록체인 투자업체 해시드의 컨설팅·리서치 자회사다.
김 전 차관은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재직시절 특정금융정보법을 통해 가산자산 시장을 제도권에서 규율하는 등 초석을 놓은 관료다.
6. 겐슬러 SEC 위원장 "암호화폐 시장, 자본시장과 달리 취급할 이유 없어"
https://cobak.co.kr/news/9/post/734652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암호화폐 시장을 자본시장과 다르게 볼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암호화폐 산업이 증권법을 통해 규제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23일 외신에 따르면, 게리 겐슬러 위원장은 월스트리트저널 기고를 통해 "기술이 다르다는 이유로 암호화폐 시장을 자본시장과 다르게 취급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겐슬러는 1966년 도입된 '미국 교통 및 자동차 안전법'을 예시로 들었다. 그는 "6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자동차 안전법은 업계의 표준으로 남아있다"며 "자동차 기술의 눈부신 혁신과 상관없이 운전자와 승객은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7. 작업증명 이더리움(ETHW), 두 번째 코드 업데이트 진행...리플레이 공격 방지
https://cobak.co.kr/news/9/post/734680
이더리움(ETH) 머지(PoS 전환)로부터 파생될 전망인 작업증명(PoW) 기반 하드포크 체인 이더리움PoW(EthereumPoW, ETHW)이 23일(현지시간) 공식 깃허브 채널에 두 번째 코드 업데이트 내용을 업로드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EIP-155가 활성화되며, 모든 트랜잭션은 체인 ID를 통해 서명돼야 한다. 이를 통해 지분증명(PoS) 기반 이더리움(ETHPoS) 및 기타 하드포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리플레이 공격'(replay attack)을 사전에 방지한다는 게 ETHW 측의 설명이다.
8. 모건스탠리 "암호화폐 긴축 '일시 중단'...상승장 위해선 레버리지 회복돼야"
https://cobak.co.kr/news/9/post/734557
미국의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암호화폐 시장의 긴축이 4개월 만에 하락세를 멈췄다고 진단했다. 단 레버리지 수요는 아직 회복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22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금·기축통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시가총액이 4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멈췄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의 시가총액이 여전히 고점보다 20% 낮지만, 기관 투자자의 '극단적인 디레버리징'은 멈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9. 비트코인 최근 약세장 이유는?...BTC 2만달러선 지켜낼까
https://cobak.co.kr/news/9/post/734535
지난 18일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공개하며 연준의 '지속적 금리인상' 의지를 재천명하면서 비트코인(Bitcoin, BTC)이 약세를 지속, 급기야 지난 주 한때 20,000달러선까지 추락한 후 현재 간신히 21,000달러선을 유지하고 있다.
이날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오는 26일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잭슨홀 심포지엄 연설 등 거시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비트코인이 월요일 오후 21,000달러선까지 밀려났다"고 진단했다. 비트코인은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이 공개된 후 지난 5일간 약 10% 하락했다.
이와 관련 미국 외환 트레이딩 업체 오안다(Oanda)의 수석 애널리스트 에드워드 모야(Edward Moya)는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연준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스탠스를 전망한 투자자들의 투심 악화로 위험 자산 시장 전반이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비트코인 모멘텀이 증발했다. 월가의 대다수 전문가들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이슈 해소에는 최소 2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0. 이더리움 테스트넷 '세폴리아', PoS 미전환 노드 분리 작업 실시
https://cobak.co.kr/news/9/post/734552
세폴리아(Sepolia)는 이더리움 테스트넷 중 처음으로 포스트 머지(post-Merge, 병합 이후) 업그레이드 작업을 실시했다.
23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이더리움 테스트넷 '세폴리아'는 전날 오전 3시 1분, 한국시간으로 오후 12시 1분에 머지 후 업그레이드 작업을 완료했다.
이더리움은 내달 15일 합의매커니즘을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으로 전환하는 머지(Merge, 병합) 업그레이드를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