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8월 24일 자 가상화폐 뉴스
8월 24일 자 코인 뉴스를 전해드려요.
* 국내외 매체 소식은
블로거의 견해가 아니라,
해당 매체의 의견임을 밝힙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에 하에
하시길 바랍니다.
1. 美 설리반 은행, 백트와 파트너십...비트코인·이더리움 매매 서비스 제공
https://coinreaders.com/43402
1895년에 설립된 종합 금융 기관인 미국 설리반 은행(Sullivan Bank)이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백트(Bakkt)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암호화폐 매매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24일(현지시간) 비지니스와이어에 따르면 설리반 은행 고객들은 은행 모바일 뱅킹 앱에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구입할 수 있게 된다.
2. 리플 ODL, UAE로 확장...XRP 소폭 반등
https://coinreaders.com/43399
블록체인 해외송금 플랫폼 리플(Ripple)의 파트너사인 말레이시아 소재 송금 서비스 업체 트랭글로(Tranglo)가 23일(현지시간) 공식 채널을 통해 아랍 만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아랍에미리트(UAE)에 리플넷 ODL(On-Demand Liquidity) 솔루션을 이용한 송금 서비스 제공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ODL은 서로 다른 법정화폐 간의 거래를 중개하기 위해 XRP를 브릿지 통화로 사용하는 국제 송금 서비스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유투데이에 따르면 XRP를 활용하는 리플의 ODL 솔루션을 통해 사용자는 매우 저렴한 결제로 목적지 시장에 사전 자금을 보유할 필요 없이 국경을 넘어 즉시 자금을 이동할 수 있다.
3. 美 중간선거, 비트코인 호재 될까?..."달러 유동성 확대 시 BTC 상승 가능성 有"
https://coinreaders.com/43392
미국이 중간선거를 앞두고 달러 유동성을 확대하면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4일(현지시간) 비트멕스 공동창업자 아서 헤이즈(Arthur Hayes)가 블로그를 통해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이외 뉴욕 연은이 보유한 역환매조건부채권(RRP·역레포), 미 재무부의 일반계정(TGA)도 달러 유동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이 같이 전망했다.
그는 "미국 연준이 금리를 올려도 나머지 두 가지 방식으로 달러 유동성을 늘릴 수 있는 것이다. 현재 비트코인은 달러 유동성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달러 유동성이 확대되면 비트코인이 이를 흡수해 가격이 상승한다"고 설명했다.
4. ETHW 대상 투기적 심리 반영됐나?..."이더리움 머지 후 문제발생 가능성 우려"
https://coinreaders.com/43388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 후 하드포크로 파생될 가능성이 있는 ETHW를 얻기 위한 투기적 심리가 시장에 반영됐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현지시간) 디크립트에 따르면, 지난주 이더리움 비콘체인에 스테이킹을 위해 예치된 ETH 물량이 약 1만2377 ETH를 기록하며 비콘체인 출시 후 가장 적은 규모를 나타냈다.
주간 비콘체인 예치 물량은 지난 5월 초부터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다. 현재 비콘체인에 예치된 ETH는 약 1330만 ETH 이상으로, ETH 유통량의 약 11.18%를 차지하고 있다.
5. 셀시우스, '시장조장' 혐의로 소송한 키파이에 맞고소..."키파이 때문에 파산"
https://coinreaders.com/43377
파산 절차를 진행 중인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셀시우스(CEL)가 전 협력사이자 일부 예치금을 관리했던 디파이 프로토콜 키파이(KeyFi)와 그 CEO인 제이슨 스톤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24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셀시우스는 "피고는 셀시우스의 귀중한 자산을 빼돌렸으며, 이에 대한 손해배상을 요청한다"면서 소송을 제기했다.
셀시우스 측은 "그들은 심지어 암호화폐 트랜잭션 믹싱 플랫폼 토네이도캐시(TORN)을 사용해 빼돌린 자산의 흔적을 지우기도 했다. 셀시우스의 파산은 피고들의 무능, 기만, 배신 등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했다.
6. 코인베이스, 미국법 따라 증권 브로커로 등록해야 할까?..."상장 암호화폐는 증권" 주장도
https://coinreaders.com/43376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집단소송을 제기한 원고 조지 카툴라(George Kattula)가 "코인베이스는 자사 플랫폼에 상장된 암호화폐가 증권이라는 사실을 공개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24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조지 카툴라는 "코인베이스는 증권의 성격을 가진 암호화폐를 규제기관에 신고 및 등록하지 않으며 미국 연방법, 주법 등을 무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암호화폐 프로젝트는 토큰 판매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잠재력을 보고 수익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매수한 토큰들은 전통적인 증권과 성격이 유사하다. 코인베이스는 미국법에 따라 증권 브로커 및 딜러로 등록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7. 넥소 CEO "이더리움 머지로 ETH 가격 급등할 것"
https://coinreaders.com/43368
암호화폐 대출기관 넥소(Nexo)가 24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더리움 설립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은 최근 이더리움의 업그레이드가 9월 15일에 진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업그레이드를 통해 이더리움은 작업 증명(PoW) 합의 메커니즘에서 지분 증명(PoS) 모델로 전환된다.
넥소는 "우리는 향후 머지가 진행될 때 모든 월렛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이미 대비를 마쳤다. 머지 이후에도 고객은 추가 작업 없이 기존대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고객 자금을 보호하기 위해 머지가 진행 중일 때는 ETH 및 ERC-20 토큰의 입출금은 일시 중단한다. 또 ETHW(PoW ETH)가 나오면 이를 면밀히 평가하고 문제가 없다면 이를 지원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넥소의 공동 창업자인 안토니 트렌체프(Antoni Trenchev) 최고경영자(CEO)는 CNBC 인터뷰에서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의 가격이 다음 달 다가오는 이더리움 업그레이드에 따라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8. 비트코인 2만달러, 약세장 바닥 맞나
https://coinreaders.com/43366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itcoin, BTC)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방향성을 엿볼 수 있는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여전히 21,000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한국시간 24일 오후 4시 43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비트코인(BTC, 시총 1위) 시세는 24시간 전 대비 0.54% 오른 21,283달러이다. 현재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4,072억 달러 규모이고, 도미넌스(시총 비중)은 39.8% 수준이다. 비트코인은 지난 7일간 10.92% 떨어졌다.
9. 설문 "미국인 절반, NFT 들어본 적 있다...실제 투자는 극소수"
https://coinreaders.com/43323
미국 워싱턴 D.C. 소재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가 최근 미국인들을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49%가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토큰)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 중 실제로 디지털 아트를 구매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2%에 그쳤다. 이는 NFT가 아직 진정한 메인스트림(주류)이 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10. 비트코인 투심 '극단적 공포' 전환..."암호화폐 약세장 이제 막 시작"
https://coinreaders.com/43319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암호화폐 비트코인(Bitcoin, BTC)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방향성 엿볼 수 있는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여전히 21,000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한국시간 24일 오전 9시 2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비트코인(BTC, 시총 1위) 시세는 24시간 전 대비 0.58% 상승한 21,525달러를 기록 중이다. 현재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4,124억 달러 규모이고, 도미넌스(시총 비중)은 39.7% 수준이다. 비트코인은 지난 7일간 9.82%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