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가상화폐 뉴스

22년 8월 31일 자 가상화폐 뉴스

N잡러 제이디 2022. 9. 1. 02:10
반응형

 

8월 31일 자 코인 뉴스를 전해드려요.
 

* 국내외 매체 소식은
블로거의 견해가 아니라,
해당 매체의 의견임을 밝힙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에 따라
하시길 바랍니다.


 


1. 비트코인 2만달러 지지선 붕괴에 투심 악화...'공포→극단적 공포' 전환
https://cobak.co.kr/news/9/post/737846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itcoin, BTC)이 31일(한국시간) 심리적 지지선인 2만 달러선이 재차 무너지면서 투자심리도 다시 얼어붙었다. 이날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에 따르면 해당 지수는 전날 대비 4포인트 하락한 23을 기록했다. 투심이 위축되며 '공포' 단계에서 '극단적 공포' 단계로 전환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이날 오전 9시 4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비트코인(BTC, 시총 1위) 시세는 24시간 전 대비 2.19% 하락한 19,828달러를 기록 중이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제롬 파월 의장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 후 최근 2만달러 아래로 급락한 비트코인은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소폭 회복세를 보였지만 재차 2만달러 밑으로 하락한 모양새다.



2. 美 암호화폐 투자자 절반 "실적, 예상보다 나빴다"
https://cobak.co.kr/news/9/post/737830

미국 암호화폐 보유자의 거의 절반이 투자 실적이 예상보다 나빴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3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데일리호들이 미국 워싱턴 D.C. 소재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 보고서를 인용, 비트코인·이더리움과 같은 암호화폐에 투자 경험이 있는 미국 성인의 거의 절반이 "실적이 예상한 것보다 좋지 않았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한 미국 성인 중 암호화폐에 투자 혹은 거래한 적 있다고 답한 비중은 전체의 16%였다. 
 


3. 비트코인·이더리움 레버리지 비율 '최고치'...난기류 예상
https://cobak.co.kr/news/9/post/737867

이더리움·비트코인 선물의 '미결제약정 레버리지 비율'이 최고 수준을 보이면서, 급격한 가격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 같은 비율이 증가한다는 것은 미결제약정이 시장 규모를 앞지르고, 변동성 위험을 높이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미결제 약정 레버리지 비율'은 미결제 상태인 무기한 선물 계약에 들어온 자금(달러)을 기초 자산의 시가총액으로 나눈 값이다. 해당 비율은 시장 규모 대비 레버리지 수준을 보여주고, 파생상품 시장 활동에 대한 현물 가격의 민감도를 나타낸다.



4. 前 골드만삭스 임원 "이번주 美경제지표, 암호화폐·주식 시장에 기회 줄 수도"
https://cobak.co.kr/news/9/post/737816

골드만삭스 출신의 유명 매크로 투자자 라울 팔(Raoul Pal)이 이번주 발표 예정인 ISM 제조업 지수 등 경제 지표가 암호화폐와 주식 시장에 기회를 가져다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주에 미국 경제 활동을 나타내는 ISM 제조업 지수와 미국의 비농업 고용 지표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3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비트코인(BTC) 강세론자인 라울 팔 리얼비전 그룹(Real Vision Group) 최고경영자(CEO)는 975,000명의 트위터 팔로워에게 "미 달러 지수 DXY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달러 강세가 계속되면 상황은 정말 엉망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5. 파월 쇼크 계속, 나스닥·비트코인 하락세...위험자산에서 돈 빼라?
https://cobak.co.kr/news/9/post/737821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itcoin, BTC)은 31일(한국시간) 오전 7시 15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9,89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24시간 전 대비 1.55% 하락한 수치다. 전날 저가매수세 유입으로 2만달러선을 회복했지만 간밤 미 증시 하락에 다시 2만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알트코인 대장 이더리움(Ethereum, ETH)도 전날 1,600달러까지 올랐지만 현재는 상승폭을 반납하며 1,540달러에 머물러 있다.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24시간 전 대비 1.10% 감소한 9,712억 달러 수준이다.

한편 JP모건의 글로벌 수석 전략가 데이비드 켈리는 "단기 방향성을 찾기보다, 장기적인 가치투자가 유효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피해야 할 투자 자산으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와 대형 기술주를 꼽았다. 



6. '비트코인 채권' 망설이던 엘살바도르..."올해 말 발행될 것"
https://cobak.co.kr/news/9/post/737868

엘살바도르의 세계 첫 비트코인 채권이 올해 말 발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30일(현지시간) 파올로 아르도이노 비트파이넥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포춘과의 인터뷰에서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채권이 올해 말 발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2월 알레한드로 젤라야 엘살바도르 재무부 장관은 10억 달러(약 1조 1900억원) 규모의 비트코인 채권을 발행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채권 발행의 절반은 비트코인을 구매하고, 나머지 절반은 비트코인 도시 건설에 사용될 예정이었다.

 


7. 비탈릭, 이더리움 10년 스토리 담았다...도서 『지분증명』 내달 27일 발간
https://cobak.co.kr/news/9/post/738011

이더리움이 대형 업그레이드 '머지(Merge)'를 앞둔 가운데, 공동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지분증명(PoS)』에 관한 책을 출간한다.

부테린은 31일 트위터 계정을 통해 "도서 『지분증명(Proof of Stake)』을 종이책과 전자책으로 출간한다"면서 "지난 10년 동안 작성했던 여러 글을 정리한 책이 한 달 안에 나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서 『지분증명』은 이더리움 출범 이전과 이후 수년 동안 게재한 글들을 엮은 책으로, '이더리움 개발과 블록체인 철학'이라는 부제를 달았다.



8. 31일 암호화폐 시장동향 .. 금리인하 기대후퇴로 금융시장 속락 · 이더리움 1600달러 수준까지 반등
https://cobak.co.kr/news/9/post/737956

잭슨홀 회의 이후 급속히 비관론이 거세지면서 발밑에서는 과매도 수준이고 과도한 경계감 시정도 볼 수 있다.

특히 머지(The Merge)를 앞둔 이더리움(ETH)은 전일대비 3.94% 상승으로 시가총액 TOP20 주요 알트 중 가장 환매가 선행됐다. 단기적이라고는 하지만 미국 주가지수와의 높은 상관성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이대로 디페그 상태가 지속된다면 좋은 징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더리움의 핵심 개발자 팀 베이코에 따르면 머지 실시 예정일은 9월 10일 ~ 20일 열릴 전망이며 중요 업그레이드의 기점이 될 벨라트릭스는 9월 6일 시작될 전망이다.

 


9. 親리플 변호사 "SEC 규제 조치, 암호화폐 사기꾼보다 투자자에게 더 많은 손실 입혀"
https://cobak.co.kr/news/9/post/737834

블록체인 해외송금 프로젝트 리플(Ripple)를 대변하는 미국 변호사 존 디튼(John Deaton)이 리플에 대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소송으로 인해 투자자가 약 150억 달러의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3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유투데이에 따르면 저명한 친 XRP 활동가이자 크립토로(CryptoLaw)의 설립자 존 디튼은 트위터를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SEC가 리플과의 소송을 기업과 경영진의 특정 판매 사건으로 한정하지 않고 2차 시장에서 판매되는 것을 포함한 모든 XRP를 미등록 증권이라고 밝힘에 따라 발생한 피해 규모"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그는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메사리의 최고경영자(CEO)인 라이언 셀키스(Ryan Selkis)의 "지난해 암호화폐 사기로 인한 피해 규모는 10억 달러다. 반면 그레이스케일 현물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미승인으로 인한 피해는 70억 달러 상당"이라는 내용의 트윗을 공유했다.



10. 이더리움, EIP-1559 적용 후 ETH 소각 물량 260만 개 돌파
https://cobak.co.kr/news/9/post/737829

대표적인 '스마트 컨트랙트'(조건부 자동계약 체결) 플랫폼 이더리움의 고유 자산 이더(ETH, 시총 2위)는 8월 31일(한국시간) 오전 7시 40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536달러를 기록 중이다. 이더는 지난 24시간 동안 최저 1,480.83달러에서 최고 1,600.46달러 사이에서 거래됐다. ATH코인인덱스에 따르면 이더의 사상최고가는 4,878.26달러이다.

한편 이날 이더리움 소각 관련 데이터 플랫폼 울트라사운드머니(ultrasoundmoney)에 따르면 지난해 런던 업그레이드 이후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소각된 ETH 물량이 2,603,380.97 ETH를 기록했다. 현재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분당 ETH 소각 속도는 약 4.63 ETH다.

 

 


 

아래는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제 레퍼럴 코드와
레퍼럴 코드 가입 링크예요.
제 레퍼럴 코드로 가입하시면
매매 수수료의 10%를
돌려 받으실 수 있어요.

S67AZX0L

 

 

https://accounts.binance.com/en/register?ref=S67AZX0L 

 

https://undefined/undefined

 

accounts.binanc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