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가상화폐 뉴스

22년 7월 27일 자 가상화폐 뉴스

N잡러 제이디 2022. 7. 28. 07:07
반응형

 

 




7월 27일 자 코인 뉴스를 전해드려요.
 

* 국내외 매체 소식은
블로거의 견해가 아니라,
해당 매체의 의견임을 밝힙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에 하에
하시길 바랍니다.

 


 

 

1. 美전문가들 "1년내 경기침체 확률 55%...연준이 경기침체 유발할 것"
https://cobak.co.kr/news/9/post/721585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이 경기침체를 촉발할 가능성이 더 커졌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CNBC방송은 이코노미스트와 펀드매니저, 애널리스트 등 30명을 대상으로 7월 설문조사 결과 '물가상승률을 낮추려는 연준의 노력이 경기침체를 유발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63%가 '그렇다'고 답했다고 26일(현지시간) 전했다.

미 경제가 침체를 피해 연착륙할 것으로 낙관한 응답자는 22%에 불과했다.

​​

2. 머지發 이더리움 랠리 '잠시 멈춤'...ETH 차익실현에 하락
https://cobak.co.kr/news/9/post/721599

​9월로 예정된 '2.0' 업데이트 기대감에 랠리하던 이더리움(Ethereum, ETH)이 차익 실현 매물에 급격히 조정받는 모양새다.

시가총액 2위 암호화폐 이더리움(ETH)은 27일(한국시간) 오전 8시 15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40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는 지난 24시간 동안 4.79% 하락했다.

이더리움은 지난 13일(현지시간) 1,020달러 저점에서 최근 약 1,640달러까지 60% 가량 급등했었다.

 

 

3. 美 상원의원 "최근 암호화폐 산업 붕괴, SEC 책임도 있다"
https://cobak.co.kr/news/9/post/721920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서열 1위 팻 투미(Pat Toomey) 상원의원이 26일(현지시간) 게리 겐슬러(Gary Gensler)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최근 암호화폐 산업 붕괴로 인한 투자자들의 피해는 SEC에도 책임이 있다. 그들은 암호화폐 기업들에 명확한 규제 지침을 제공하지 않았으며, 디지털 자산 및 관련 서비스에 기존 증권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다면 작금의 상황은 달라질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4. 연이은 악재에 흔들리는 클레이튼...카카오 후광효과 소용없나
https://cobak.co.kr/news/9/post/721746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이 위기를 겪고 있다. 클레이튼 기반 프로젝트들의 청산과 횡령 이슈에 더해 굵직한 프로젝트나 협력사도 '탈(脫) 클레이튼'을 선택하고 있다. 카카오의 후광효과에도 불구하고 플랫폼 자체의 신뢰성과 성능을 확보하지 못한 결과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클레이튼 기반 탈중앙화금융(DeFi·디파이)·대체불가토큰(NFT) 프로젝트들이 연달아 사업을 종료하고 있다.

클레이튼의 디파이 프로젝트 네버랜드는 이달 8일 프로젝트 종료 방향을 정하는 청산 투표를 진행했다. 해당 투표는 97.41%의 찬성표를 받았고, 네버랜드는 청산 절차에 돌입했다.

 

 

5. 비트코인 횡보 속...일부 알트코인은 상승세 보이기도 [코인 브리핑]
https://cobak.co.kr/news/9/post/721795

비트코인 가격이 보합세를 보이는 가운데 소형 알트코인(얼터너티브 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대체 가상화폐)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27일 글로벌 가상화폐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35분 현재 비트코인은 24시간 이전보다 0.02% 오른 2776만23942원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둔 경계감에 방향을 정하지 못하고 박스권 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미 연준이 이번 FOMC에서 기준금리의 0.75%포인트 인상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가상화폐 트레이딩 업체인 XBTO그룹의 폴 아이즈마는 "비트코인 가격이 박스에 갇혀 있다"며 "Fed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지켜보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6. 암호화폐, 금리·코인베이스 악재에 '휘청'...비트코인 장중 21,000달러 붕괴
https://cobak.co.kr/news/9/post/721584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itcoin, BTC)은 지난밤 미국 나스닥지수가 2% 가깝게 급락한 여파로 동반 하락하며 현재 21,000달러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다.

한국시간 27일 오전 7시 38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시가총액 1위 암호화폐 비트코인 시세는 21,131달러를 기록 중이다. 이는 24시간 전 대비 2.27% 하락한 수치다. 비트코인은 지난 24시간 동안 최저 20,776.82달러, 최고 21,724.80달러 사이에서 거래됐다. 

이날 비트코인 하락은 향후 소비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와 하루 앞으로 다가온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의 추가 정책금리 인상 결정에 뉴욕증시가 하락하면서 위험자산 선호가 약해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7. 중국 암호화폐업 종사자 : 부유층은 어떻게 투자정보를 취득하는가?
https://cobak.co.kr/news/9/post/721761

싱가포르에 거점을 둔 암호화폐 기업용 마케팅 회사 ‘Winkrypto’가 중국 암호화폐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1,035개의 유효응답을 분석한 결과 영어권에서 발신되는 정보원이 압도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코인포스트가 27일 전했다.

Winkrypto는 본 조사가 암호화폐 분야의 핵심 그룹, 그 중에서도 부유층을 주요 대상으로 한 것으로 암호화폐 관련 사업 종사자 전체와는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부유층의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실증적으로 커뮤니케이션 지침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이 층을 타깃으로 한 이유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8. 이더리움클래식(ETC) 14% 급등, 불트랩?..."2021년 5월과 유사, 50% 하락 주의해야"
https://cobak.co.kr/news/9/post/722004

선도적인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이더리움(Ethereum, ETH)에서 하드포크된 이더리움클래식(Ethereum Classic, ETC)이 지난 24시간 동안 14% 넘게 급등하며 주요 암호화폐 중 가장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이더리움클래식은 27일(한국시간) 오후 8시 45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27.0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24시간 전 대비 14.19% 급등한 수치다. 

최근 ETC 가격 랠리에 대해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우블록체인의 운영자 콜린 우(Colin Wu)는 최근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이더리움 합의 메커니즘의 지분증명(PoS) 전환 이후 기존 작업증명 기반 해시파워를 흡수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이더리움클래식 토큰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9. 겐슬러 美 증권거래위원장 "비트코인만 상품, 나머지 가상화폐는 증권"
https://cobak.co.kr/news/9/post/721714

지난달 27일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장은 "비트코인은 주요 가상화폐 가운데 증권이 아닌 '상품'으로 불릴 수 있는 유일한 가상화폐"라며 "앞으로 디지털 시장의 감독 강화를 위해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와 적극적으로 협력할 예정"이라고 마켓워치가 보도했다.

게리 겐슬러 위원장은 이더리움 등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가상화폐에 대해선 언급을 아꼈다. 이로써 비트코인을 상품으로 구분할 예정이라는게 업계의 판단이다.

이날 겐슬러는 디지털 자산의 성격을 고려했을 때 시장에 출시된 대부분의 가상화폐를 증권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0. 美 연준 금리 인상 시 비트코인 시나리오는?..."BTC 10% 이상 하락 가능성 有"
https://cobak.co.kr/news/9/post/722003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이번에 기준금리를 75bp(0.75%포인트, 1bp=0.01%포인트) 인상하면 비트코인(BTC)이 10% 넘게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블로핀(Blofin) 소속 변동성 트레이더 그리핀 아던(Griffin Ardern)이 "암호화폐 시장의 위험 수준이 아직 합리적 수준까지 내려오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미연준의 75bp 인상이 시장에 상당한 타격을 입힐 수 있다"고 설명이다. 

퀀트 기반 트레이딩 회사 TDX Stratgie 최고경영자(CEO) 딕 로(Dick Lo)도 "75bp 인상 후 시장이 잠시 안도 랠리를 보이다가 다시 횡보할 것"이라며 "다만 이더리움(ETH)는 머지(PoS 전환) 기대감에 상승할 가능성이 남아 있다"고 내다봤다. 미 연준은 한국시간 28일 새벽 3시 기준금리를 발표할 예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