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9일 자 국내주식 뉴스를 전해드려요.
* 국내주식 소식은
블로거의 견해가 아니라,
해당 매체의 의견임을 밝힙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에 하에
하시길 바랍니다.
[ 기업/종목 ]
1. LX, 반도그룹 보유 한진칼 지분 3.83% 매입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225226766
LX그룹의 물류 자회사 LX판토스가 한진칼(180640) 지분 3.83%를 매입했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LX판토스는 반도그룹이 보유하던 한진칼 지분 3.83%를 약 1600억 원에 사들였다. 한진칼은 대한항공(003490) 지분 26.13%를 보유한 최대 주주다.
LX판토스는 항공물류 사업을 확대해온 만큼 한진칼 지분 매입으로 대한항공과의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LX판토스 관계자는 “항공물류 사업 확대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지분을 매입했다”고 밝혔다.
2. 증시 약세 속 e커머스들 '상장' 시동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220535472
주요 e커머스 플랫폼들이 기업공개(IPO) 레이스에 시동을 걸었다. 컬리를 시작으로 11번가와 오아시스마켓 등이 본격적인 상장 준비에 나선다.
투자금이 고갈되기 전 IPO를 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상장 여부에 따라 e커머스의 옥석 가리기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새벽배송 1위 업체 컬리는 지난 22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해 증시 입성을 위한 첫 관문을 넘었다.
상장 예비심사를 받으면 6개월 이내 상장을 완료해야 한다. 컬리가 증시 입성에 성공하면 e커머스 업체로는 ‘국내 1호 상장’이 된다.
3. 러시아 가스관 빗장에 강달러도 가세..도시가스 요금 또 오를 듯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215720382
러시아의 공급 축소로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 오르고 원·달러 환율도 급등하면서 정부가 도시가스 요금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10월 도시가스 요금 인상 여부에 대해 기획재정부와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29일 확인됐다.
산업부는 최근 가스 가격 급등으로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이 5조원을 넘어서자 지난해 결정된 정산단가 인상을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4. 현대L&C, 인조대리석 증설 "칸스톤 생산 2배 늘려"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211528896
현대L&C 측은 “500억원을 들여 구축한 세종특별시 ‘세종 칸스톤 제2 생산라인’ 증설을 마치면서 기존보다 2배 늘어난 연간 110만㎡를 생산할 수 있게 됐다”며 “캐나다 온타리오주 공장 1·2라인에서 만드는 칸스톤을 포함하면 전체 생산 규모는 연간 220만㎡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칸스톤은 천연 석영을 90% 이상 사용한 인조대리석이다.
현대L&C는 이번 증설을 통해 스페인 코센티노, 이스라엘 시저스톤, 미국 캠브리 등에 이어 엔지니어드 스톤 시장 4위 자리를 이어갔다. 현대L&C는 2004년 칸스톤 브랜드로 엔지니어드 스톤 시장에 진출, 현재 국내 점유율 1위에 올라 있다. 엔지니어드 스톤은 최근 주방가구 상판을 비롯해 아트월·바닥재 등으로 수요가 확대한다.
5. '韓 배터리-日 완성차' 미국에 첫 합작 공장 세운다.. LG엔솔, 日 혼다 손잡기로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200034147
LG에너지솔루션이 일본 완성차 업체 혼다와 미국에 배터리 합작 공장을 짓는다. 이는 국내 배터리 업체와 일본 완성차 업체의 첫 번째 전략적 협력 사례다. 두 회사가 만든 배터리는 2026년 혼다의 첫 번째 전용 플랫폼 기반 전기차에 들어간다.
LG에너지솔루션은 29일 서울 여의도 파크원 본사에서 혼다와 5조1,000억 원(44억 달러)을 투입, 배터리 합작법인을 설립키로 했다. 합작법인의 지분율은 LG에너지솔루션 51%, 혼다 49%다. 이날 합작법인 설립 체결식에는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 미베 토시히로 혼다 최고경영자(CEO) 등이 참석했다.
두 회사는 연내 공장 부지를 확정하고, 내년 상반기 공사를 시작한다. 합작 공장은 2025년에 완공, 연말부터 파우치 배터리셀과 모듈을 양산할 계획이다. 연간 생산량은 40기가와트시(GWh)로, 전기차 약 60만 대 분량이다. 생산된 배터리는 혼다와 아큐라 전기차에 쓰인다. 혼다는 2026년까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개발, 차세대 전기차를 선보일 계획이다.
6. 셀트리온 '램시마SC' 영국 주요 매체서 조명.."삶의 질, 크게 높여"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92647753
램시마SC(성분명 인플릭시맙)가 자가면역질환 환자 삶의 질을 개선시킨 사례가 영국 주요 매체를 통해 보도돼 주목을 받았다.
램시마SC는 셀트리온이 개발한 염증성장질환류머티즘관절염 치료제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생물학적제제 복제약) '램시마'를 개량한 의약품이다. 램시마가 병원에서 수액으로 투여하는 정맥주사(IV) 제형이라면 램시마SC는 환자 스스로 복부 등에 주사기를 찔러 약물을 주입하는 피하주사 제형이다. 병원에 안가도 되기 때문에 편의성이 높고, 경쟁 약이 없다는 게 최대 강점이다.
영국 주요 일간지인 데일리 익스프레스(Daily Express)는 '재택 치료가 환자에게 제어력을 주는 방법(How at-home treatments are giving patients control)' 제목의 기사에서 램시마SC를 처방받은 궤양성 대장염 환자와 위장병 전문의의 인터뷰를 통해 램시마SC가 얼마나 질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면서 환자의 삶을 어떻게 개선시켰는지 조명했다.
7. "1억 3500만원짜리 시계도 거래"..판 커지는 온라인 리셀 시장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83900047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명품 리셀(재판매) 시장 판이 커지고 있다. 고가의 핸드백 뿐 아니라 1억원대 시계가 온라인 상에서 척척 거래가 돼 눈길을 끈다.
29일 이커머스업계에 따르면 온라인 명품 플랫폼 트렌비는 최근 프리미엄 정품리셀 서비스를 통해 '파텍필립' 명품 시계가 리셀가 1억3500만원에 거래 완료됐다고 밝혔다.
1억3500만원에 거래된 파텍 필립사의 제품은 '노틸러스 5712 1A' 모델이다. 출시가보다 약 2~3배 높은 가격에 리셀가가 형성돼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8. 종이컵·플라스틱 빨대 못 쓴다니..일회용품 규제에 자영업자 '곤혹'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83605985
오는 11월 24일부터 커피숍 등 매장 내 일회용품 사용 제한이 확대되면서 자영업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2월에는 유예됐던 일회용컵 보증금제도가 시행되면서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9일 환경부에 따르면 오는 11월 24일부터 식품접객업과 집단급식소 매장 안에서 플라스틱 빨대와 일회용 종이컵, 젓는 막대 등 사용이 금지된다. 편의점 등 종합 소매업과 제과점에서 비닐 봉투도 사용할 수 없다. 대규모 점포에서의 우산 비닐 사용도 제한하고, 체육시설에서 플라스틱으로 만든 일회용 응원 용품도 쓸 수 없게 된다.
환경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일회용품 규제와 관련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담은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적용범위 안내서'를 지난 24일 공개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31일 개정·공포된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른 조치다.
안내서에 따르면 음료가 담긴 컵을 운반하기 위해 제조된 비닐 캐리어는 일회용 봉투에 해당해 사용이 금지된다. 치킨집에서 닭뼈를 회수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통에 씌우는 비닐 봉투는 사용이 가능하다.
9. 삼성·SK 中공장에 '반도체 장비' 반입되나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82303683
중국을 대상으로 한 반도체 제조 장비 수출 통제와 관련해 중국 내 한국 기업은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한·미 양국이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중 공급망 갈등에 따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
29일 정부와 대통령실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미국 상무부와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통상교섭본부가 ‘한국 기업은 수출 통제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내용을 미국 측에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고 했다. 미 상무부 역시 한국 측에 “중국 내 한국 기업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취지로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부 관계자는 “수출 통제 관련 채널이 계속 유지되고 있고, 한·미 간 대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반도체 제조장비 수출 통제 문제는 칩4 동맹(한·미·일·대만 4개국 반도체 협의체)과는 별개의 테이블에서 논의되고 있다.
10. 국내 최대 키즈카페 플레이타임, 중앙그룹이 1250억에 인수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81501460
29일 콘텐트리중앙(대표 제찬웅·홍정인)이 국내 최대 어린이 실내놀이터 기업 플레이타임그룹(대표 김종수)을 인수했다고 공시했다. 거래 상대방은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H&Q코리아파트너스가 운용 중인 킨더홀딩스다. 매매 대상은 지분 100%이며 거래 가격은 1250억원이다. 콘텐트리중앙은 기존 공간사업자인 메가박스와 플레이타임그룹 사이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이번 투자를 단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플레이타임그룹은 1994년 설립됐다. 국내 복합쇼핑몰·백화점·대형마트 등에 직영점 80개, 가맹점 110개를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 15개, 몽골 1개 등 해외 지점도 운영 중이다.
H&Q는 2015 년 인수 이후 플레이타임의 다브랜드 다거점 전략을 챔피언 브랜드 직영점 위주 운영으로 전략을 수정했다. 챔피언, 챔피언 1250, 챔피언더블랙벨트 등 챔피언 브랜드는 플레이타임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플레이타임그룹은 2019 년 기준 전년 대비 22% 성장한 매출 598억원을 기록하는 등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다가 2020년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적자로 전환했다
[ 시황/전망 ]
1. 키방크, 다우 '비중축소'로 하향.."석유화학 경기 침체 임박"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224037696
키방크 캐피탈 마켓은 29일(현지시간) 석유화학 경기 침체가 임박함에 따라 화학 업체인 다우의 주식을 매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분석가 알렉세이 예프레모프는 올해 말 유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력 부족 문제를 포함한 회사의 향후 과제를 인용하면서 다우의 투자의견을 비중축소로 하향했다.
알렉세이 예프레모프는 '우리는 4분기 마진과 수익이 '저점' 또는 '불황'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2. 성장주 '파월 쇼크'..네·카 시총 하루만에 3조 증발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91517597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NAVER(035420)는 전 거래일보다 8000원(3.31%) 내린 23만4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카카오(035720)도 3800원(5.00%) 하락한 7만2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각 장중 23만1500원, 7만1800원까지 떨어지며 지난 6월 기록한 52주 신저가에 근접했다. 두 종목의 시가총액은 이날에만 3조원 넘게 증발했다.
카카오페이(377300)(4.08%), 카카오뱅크(323410)(4.09%), 카카오게임즈(293490)(-2.11%) 등 카카오그룹주도 일제히 하락했다. 넥슨게임즈(225570)(-5.19%), 크래프톤(259960)(-5.11%), 위메이드(112040)(-4.45%)를 비롯한 게임주와 하이브(352820)(-6.27%),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4.30%) 등 엔터주 역시 급락했다.
이들 성장주는 시장 수익률을 하회했으며 코스피 지수(-2.18%)보다 코스닥 지수(-2.81%)의 낙폭이 컸다. 글로벌 경기에 민감한 반도체 종목이 내리면서 KRX반도체지수도 3.92% 하락했다. 기술주 중심의 미국 나스닥지수가 26일(현지시간) 3.94% 추락하면서 위험회피심리가 강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증권가에선 금리 인상 기조가 주식, 특히 기술주와 성장주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므로 비중을 줄일 것을 추천했다.
3. 채권금리 고공행진에..증권사 리테일 채권판매 '쑥'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90643499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투자가 올해 1~8월 판매한 리테일 채권금액은 10조원을 넘었다. 이는 전년 대비 160% 증가한 수준이다. 국내 증권사 중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신한금융투자는 최근 금융채를 대상으로 한 개인투자자의 유입이 빠르게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 7월부터 본격적으로 판매한 카드채 등 금융채를 중심으로 한 원화채권 판매금액은 2달 만에 6000억원을 넘었다. 이 가운데 개인 투자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80%에 이르렀다. 특히 만기가 2년 이하면서 AA 등급 이상의 금융채가 중점적으로 판매됐다고 짚었다.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KB국민카드 450억원, 현대카드 600억원, 현대캐피탈 200억원 등의 채권이 8월 초 일주일 만에 모두 완판됐다”고 설명했다.
단기 금리형 상품인 단기사채 역시 연초부터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며 누적 9조원의 판매고를 올렸다. 이 역시 전년 대비 2.5배 증가한 규모다.
4. "수주 몰려온다"…나홀로 빛난 원전주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82554757
약세장이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원전주가 달아오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원전 붐이 이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이 혜택을 볼 가능성이 제기된다. 3조 원 규모의 이집트 엘다바 원전으로 수주 물꼬를 튼 데다 하반기에는 체코(8조 원 규모), 폴란드(40조 원 이상) 등 원전 건설 사업을 따낼 가능성도 있다는 기대가 투자심리를 달구고 있다. 다만 아직 실적보다는 기대감을 재료로 뜬 주가라는 점은 투자 시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원전 대장주로 꼽히는 두산에너빌리티는 이날 보합(0%)으로 장으로 마쳤다. 대형주들이 2~4% 급락하며 코스피지수가 2.18% 떨어진 데 비해 선방한 주가다. 두산에너빌리티는 8월 1일부터 이날까지 18.13% 올랐다. 같은 기간 코스피(-1.00%)와 코스닥(-2.95%)의 하락세와 대비하면 눈에 띄는 상승 폭이다. 원전 설계 업체 한전기술(14.94%)과 원자로 정비사업을 벌이는 한전KPS(6.93%)도 상승했다. 비에이치아이(22.97%), 보성파워텍(14.60%), 일진파워(11.48%)도 일제히 상승했다.
올 6월 출시된 원전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도 강세다. ‘HANARO 원자력 iSelect’ ETF와 ‘KINDEX 원자력테마딥서치’ ETF는 각각 7.95%, 6.94% 올랐다.
5. 하락장에서 유상증자 충격까지..제주항공·오스코텍 두자릿수 급락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74509451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로 국내 증시가 급락한 가운데 대규모 유상증자 소식까지 겹친 제주항공과 오스코텍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주항공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0.27% 떨어진 1만4850원에 장을 마감했다. 제주항공 주가는 장중 1만4000원까지 떨어지면서 52주 신저가를 새로 썼다. 제주항공은 전 거래일인 지난 26일 총 3200억원 규모의 주주 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주당 예상 발행가는 1만1750원, 발행 예정 주식 수는 총 2723만4043주다.
6. 내년 바라보고..현금 두둑해질 성장株 '찜'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74504448
국내외 증시가 당분간 등락을 반복하는 횡보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시장금리가 상승을 마무리하고 하락세로 돌아설 때 주가 상승률이 클 것으로 보이는 성장주에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과거 사례를 분석해보면 경제성장률과 기업 이익이 둔화하는 국면에서는 잉여현금흐름이 개선되는 성장주가 주가 상승 모멘텀이 컸던 것으로 나타나는 만큼 이에 해당되는 기업들에 선제적으로 투자해놓는 것이 좋은 투자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29일 하나증권이 블룸버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내년 1분기 정점을 찍고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지난 6월 말의 하락 예상 시점이 내년 2분기였던 것에 비해 한 개 분기 앞당겨진 수치다. 시장금리 하락 예상 시기가 빨라진 것은 두 달 전에 비해 경기 침체에 대한 가능성도 높아졌기 때문이다.
시장금리가 하락하면 성장주 주가가 상승한다. 다만 경제성장률과 기업 이익 증가율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과 같은 금리 하락기에는 성장주 중에서도 잉여현금흐름이 개선되는 성장주가 투자자들의 더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7. 급락장에도 끄떡없는 K-방산주..줄줄이 신고가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62100562
K-방산주가 잇달아 신고가를 갈아치우며 전성기를 맞았다. 코스피와 코스닥이 동반 2%대 약세를 보이며 국내 증시가 일제히 급락하는 가운데 방산주의 주가는 나홀로 치솟고 있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전일 대비 1.53% 오른 7만9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장 초반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8만200원까지 올라 신고가를 갈아 치웠다. 지난 26일에도 장중 7만8600원에 거래돼 2거래일 연속 신고가 행진을 이어갔다. 최근 한 달 동안에만 주가가 48.2% 올랐다.
한국항공우주도 이날 신고가를 새로 썼다. 이날 급락장 속에서도 2.69% 올라 6만1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6만2700원까지 올라 신고가를 찍었다. LIG넥스원도 이날 장중 주가가 10만8000원까지 올라 신고가를 찍었다. 국내 증시가 2% 넘게 빠지는 급락장이 펼쳐진 상황에서도 방산주로 분류된 3개 종목이 나란히 신고가를 경신한 셈이다.
8. 국민연금 상반기 누적수익률 -8%..76조 손실봤다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62701797
국내외 증시 하락으로 국민연금 수익률이 6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올해에만 76조원 이상 손실이 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연간 수익률 역시 2018년에 이어 4년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29일 국민연금은 지난 6월 말 기준 누적 수익률이 -8.00%를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5월 말 기준 누적 수익률(-4.73%)보다 3.27%포인트 더 떨어진 것이다.
국민연금 전체 적립금은 시장가격 기준 882조6540억원으로 900조원대가 깨졌다. 지난해 말 기준 적립금은 948조7190억원이었는데 올해에만 66조650억원이 감소한 것이다. 보험료 수입금을 제외하면 순손실금액은 76조7000억원에 달한다.
9. 韓증시 '인플레 망령'에 휘청..강심장 개미, K주식 6000억 베팅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61905508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폭탄 발언이 '검은 월요일'로 이어졌다. '파월 쇼크'와 '킹 달러'에 코스피가 2% 이상 급락하며 2400대 초반으로 밀렸다.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인상·양적긴축이 9월부터 다시 가속화되며 전 세계 금융시장 변동성이 다시 확대될 전망이다.
29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대비 54.14포인트(2.18%) 내린 2426.89에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59억원, 5587억원을 순매도했다. 공포 속에서도 개인은 5995억원 순매수를 기록했다. 기관 중에서 금융투자와 사모펀드가 각각 3835억원, 1200억원 대량 순매도를 단행했다.
이날 하락으로 하루만에 코스피 시가총액 41조3550억원이 증발했다. 기관 매도에 코스피 시장에선 822개 종목이 하락했다. 상승 종목은 86개 그쳤다.
10. HK이노엔, 성장 동력·수익성 확보 '두 마리 토끼' 잡는다
https://finance.daum.net/news/20220829152623379
HK이노엔(195940)이 활발한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수액 사업을 본격화해 수익성을 강화하는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선다.
HK이노엔은 최근 세포치료제 개발 기업 지아이셀과 키메라항원수용체(CAR) NK 세포치료제 관련 공동 연구개발(R&D)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CAR-NK 세포치료제는 혈액에서 추출한 NK세포를 유전자 조작으로 특정 암세포와 결합하도록 만들어 암세포를 죽이는 면역항암제다. 대량 배양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며 CAR-T와 함께 대표적인 면역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계약에 따라 HK이노엔과 지아이셀은 7개의 타깃에 대한 CAR-NK 기초 연구를 함께 진행한다. 최종 선정된 파이프라인에 대해 HK이노엔은 비임상 평가, 지아이셀은 대량 배양 공정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다.
'국내 주식 > 국내주식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8월 31일 자 국내주식 뉴스 (1) | 2022.09.01 |
---|---|
22년 8월 30일 자 국내주식 뉴스 (0) | 2022.08.31 |
22년 8월 28일 자 국내주식 뉴스 (2) | 2022.08.29 |
22년 8월 27일 자 국내주식 뉴스 (2) | 2022.08.28 |
22년 8월 26일 자 국내주식 뉴스 (3)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