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일 자 코인 뉴스를 전해드려요.
* 국내외 매체 소식은
블로거의 견해가 아니라,
해당 매체의 의견임을 밝힙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에 하에
하시길 바랍니다.
1. 바이낸스 "BUSD 준비금, 美 국채 106억달러·현금 7억달러로 구성"
https://coinreaders.com/41154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BUSD 발행사 바이낸스 및 팍소스가 미국 감사 준비금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들 회사는 "지난 6월 30일 기준 BUSD의 준비금으로 현금 7억 3,800만 달러와 106억 달러 상당의 만기 90일 미만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체 준비금에서 미국 재무부 발행 국채가 차지하는 비율은 60.5%, 환매조건부채권이 35%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현재 유통되고 있는 174억 BUSD는 미국 재무부로부터 62억 달러 상당의 역환매계약(reverse repurchase agreements)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고 전했다.
2. 암호화폐 회복 시그널?..."매도 압력 해소와 함께 매수세 전환"
https://coinreaders.com/41153
암호화폐 시장에 매도 압력에 해소되고, 매수세로 분위기가 전환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2일(현지시간)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BofA)는 7월 보고서에서 "최근 거래소의 암호화폐 유출이 증가했고, 스테이블코인 순유입도 늘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암호화폐를 팔지 않고 보유할 계획이거나, 매수를 위해 시장에 진입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지난 한달간 주요 거래소의 비트코인 유출량은 5억800만달러였다. 이 기간 비트코인은 1만9300달러에서 2만3160달러로 19% 상승했다. 또한 지난 3주간 시총 기준 상위 4종 스테이블코인(USDT, USDC, BUSD, DAI)의 거래소 순유입은 총 14억달러였다.
3. 크로스체인 브릿지 노매드, 최대 1.9억달러 규모 해킹 피해..."최초의 탈중앙화 방식 공격"
https://coinreaders.com/41148
최근 크로스체인 브릿지 노매드(Nomad)가 수 차례의 트랜잭션에서 수백만달러 상당의 WETH, WBTC가 외부 지갑으로 유출되는 해킹 공격에 노출됐다.
2일(현지시간) 약 5만4000명의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유명 디파이 및 NFT 개발자 푸바(foobar)는 트위터를 통해 "브릿지 사용자는 가능한 모든 자금을 출금해야 한다. 노매드 컨트랙트에는 아직 1억2600만달러 상당의 암호화폐가 위험에 노출돼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최근 트랜잭션에서는 한 번에 10,000 ETH(약 1,600만 달러)가 해커 지갑으로 유출되기도 했으며, 브릿지는 약 8,000만 달러 상당의 USDC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4. 콜롬비아, 블록체인상 토지 소유권 기록 위해 리플과 파트너십...XRP-BUSD 시총 6위 경쟁 지속
https://coinreaders.com/41142
콜롬비아 정부가 블록체인 토지 소유권 부여 프로젝트와 관련해 리플랩스(Ripple Labs)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2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디크립토에 따르면 콜롬비아 정부는 수십 년에 걸친 무력 분쟁으로 이어진 토지의 불평등한 분배를 바로잡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암호화폐 XRP를 개발한 회사인 리플랩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해 블록체인에 토지 소유권을 부여했다.
디크립토에 따르면 블록체인 개발 회사인 피어시스트 테크놀로지(Peersyst Technology)와 리플이 구축한 이 프로젝트는 퍼블릭 블록체인인 리플 렛저(Ripple Ledger)에 자산 소유권을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인증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부동산 거래 공평성을 제고한다는 설명이다.
5. 이더리움, 머지 기대감 과장됐다?..."당분간 횡보 가능성 有"
https://coinreaders.com/41146
지난주 이더리움(ETH)의 머지(PoS 전환) 기대감으로 ETH 가격이 급등했지만 당분간 암호화폐 시장은 횡보세로 전환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2일(현지시간) 디지털자산 투자사 IDEG의 최고투자책임자 마커스 틸렌(Markus Thielen)이 보고서를 통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이 여전히 긴축 행보를 고수하고 있고, 기술적으로도 1,800달러에서 저항에 부딪혔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해 테조스 공동 창업자 아서 브라이트만(Arthur Breitman)은 포춘과의 인터뷰에서 "해당 업그레이드는 몇 년 전에 이뤄지기로 예정돼 있었다. 오랫동안 지연된 이유를 우리는 이해할 수 없다"면서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과장됐다고 전했다.
6. 카르다노 메인넷 바실 하드포크, 더 이상 연기 없다?...ADA 5% 하락
https://coinreaders.com/41133
선도적인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이더리움(Ethereum, ETH)의 강력한 경쟁자인 카르다노(Cardano)의 고유 토큰 에이다(ADA)는 지난 24시간 동안 5% 가량 하락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국시간 8월 2일 오후 6시 9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시가총액 8위 암호화폐 ADA 시세는 0.4921달러를 기록 중이다. 이는 24시간 전 대비 4.96% 하락한 수치다. 시가총액은 약 167억 달러 수준이다.
ATH코인인덱스에 따르면 카르다노 에이다의 사상최고가는 3.09달러이다.
이날 찰스 호스킨슨 카르다노 창업자가 유튜브를 통해 "메인넷 바실(Vasil) 하드포크의 추가적인 지연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7. 암호화폐 시장, 경기침체 공포에 시총 1조달러 '위태'...비트코인·이더리움 반등 지속될까
https://coinreaders.com/41104
세계 경제의 양대 성장 축인 미국과 중국의 제조업 경기 확장세가 둔화하면서 경기침체에 대한 공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밤 뉴욕증시가 하락하면서 비트코인과 주요 알트코인이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한국시간 2일 오후 1시 현재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itcoin, BTC)이 24시간 전 대비 2.21% 하락한 22,861달러에 거래되며 23,000달러선을 하회하고 있다.
다음 달 네트워크 증명방식 전환을 앞두고 있는 알트코인 대장 이더리움(Ethereum, ETH)은 6.72% 급락하며 1,578달러까지 떨어졌다.
8. 美 SEC, 암호화폐 피라미드·폰지사기 일당 11명 적발...바이낸스US, '앰프코인' 상폐
https://coinreaders.com/41095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암호화폐(가상화폐) 피라미드 겸 폰지 사기 일당 11명을 적발해 민사 소송을 제기했다고 미 CNBC 방송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이들은 '포세이지'라는 '분산형 스마트계약 플랫폼'을 만들어 개인투자자 수백만명으로부터 3억달러(약 3천900억원)가 넘는 돈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포세이지는 이더리움·트론·바이낸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스마트계약'을 통해 개인투자자들의 거래를 지원하는 플랫폼이라고 알려졌다.
9. 이더리움 2.0 업데이트 랠리 지속될까...상승세 지속 VS 하락 전환 'ETH 전망 엇갈려'
https://coinreaders.com/41085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가치 있는 암호화폐 이더리움(Ethereum, ETH)이 1,700달러선 아래로 떨어졌다. 단기 랠리 후 휴식을 취하는 모양새다.
이더리움은 오는 9월 중순으로 예정된 이더리움의 '머지(지분증명·PoS 전환) 업그레이드'에 대한 기대감에 랠리하며 1,800달러선에 근접했지만 단기간에 급반등한 데 따른 차익매물로 현재는 1,600달러대까지 가격이 후퇴했다.
이더리움(ETH)은 2일(한국시간) 오전 10시 8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63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24시간 전 대비 3.08% 하락한 수치다. 하지만 이더는 지난 7일간 14.75% 올랐다. ATH코인인덱스에 따르면 ETH의 사상최고가는 4,878.26달러이다.
10. 비트코인 '공포·탐욕 지수' 31, 투심 위축...BTC 추세 전환은 시기상조?
https://coinreaders.com/41081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암호화폐 비트코인(Bitcoin, BTC)은 지난 며칠간 22,000~24,000달러 범위에서 박스권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간밤 미국 증시가 소폭 하락하면서 일시 22,890.80달러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하락폭을 만회하며 23,000달러선을 다시 회복했다.
이날 오전 9시 36분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시가총액 1위 암호화폐 비트코인 시세는 23,240달러를 기록 중이다. 이는 24시간 전 대비 0.54% 하락한 수치다.
'가상화폐 > 가상화폐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8월 4일 자 가상화폐 뉴스 (0) | 2022.08.05 |
---|---|
22년 8월 3일 자 가상화폐 뉴스 (0) | 2022.08.04 |
22년 8월 1일 자 가상화폐 뉴스 (0) | 2022.08.02 |
22년 7월 31일 자 가상화폐 뉴스 (0) | 2022.08.01 |
22년 7월 30일 자 가상화폐 뉴스 (0) | 2022.07.31 |